t-test의 종류
1. 독립표본 t-test : 서로다른 두개의 그룹간 평균 비교.
: 남자와 여자간 소득 차이 비교
2. 대응표본 t-test : 하나의 집단에 대한 비교
: 과외를 하기 전과 후의 반 학생들의 성적 변화
3. 단일 표본 t-test : 특정 집단의 평균이 어떤 숫자와 다른지, 같은지를 비교.
t-test를 실행하기 전 조건
- 두개의 집단에 대한 t-test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등분산성, 정규성이 만족되어야 합니다.
- 정규성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측갯수가 30개 이상일 때 만족한다.
- 등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var.test 라는 함수를 사용해야한다.
예)
var.test(dbp1 ~ walk_yn, data=mydata)
# 다음과 같이 mydata에 있는 walk_yn에 의해서 그룹이 나누어진 dbp1의 인자들을 등분산성을 평가 한다.
F = 1.2665, num df = 241, denom df = 118, p-value = 0.1484
# 으로 나왔다고 가정했을 때 p-value가 0.1484가 0.05 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만족하지 않은다. 따라서 두집단의 분산은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t-test를 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
1. data import, head,data.frame, tail,str등을 통해서 data가 잘 load되었는지 확인 할 것.
2. 우선 등분산성 검증 : p-value가 0.05 보다 큰지 두 그룹간의 등분산성이 만족한지 확인.
- var.test함수 사용.
3. t.test를 활용하여 분석진행.
- 유형 1 문법 : t.test(group1의 관측치, group2의 관측치, t-test의 유형, 신뢰범위)
- 유형 2 문법 : t.test(관측치~집단구분의기준, 데이터프레임(main data),t-test의 유형, 신뢰범위 )
유형1
유형2
t.test(dbp1 ~ walk_yn, alternative = "two.sided", mu=0,paired=FALSE, var.equal=TRUE, conf.level = 0.95, data=mydata)
단일 표본 t-test는 하나의 집단의 평균이 특정기준보다 유의미하게 나른지 큰지를 알아보는 것.
문법 : t.test(관측치, alternative = 판별 방향, mu=특정기준, conf.level = 신뢰수준)
alternative는 "greater","less","two.sided"가 있다.
1. 독립표본 t-test : 서로다른 두개의 그룹간 평균 비교.
: 남자와 여자간 소득 차이 비교
2. 대응표본 t-test : 하나의 집단에 대한 비교
: 과외를 하기 전과 후의 반 학생들의 성적 변화
3. 단일 표본 t-test : 특정 집단의 평균이 어떤 숫자와 다른지, 같은지를 비교.
t-test를 실행하기 전 조건
- 두개의 집단에 대한 t-test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등분산성, 정규성이 만족되어야 합니다.
- 정규성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측갯수가 30개 이상일 때 만족한다.
- 등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var.test 라는 함수를 사용해야한다.
예)
var.test(dbp1 ~ walk_yn, data=mydata)
# 다음과 같이 mydata에 있는 walk_yn에 의해서 그룹이 나누어진 dbp1의 인자들을 등분산성을 평가 한다.
F = 1.2665, num df = 241, denom df = 118, p-value = 0.1484
# 으로 나왔다고 가정했을 때 p-value가 0.1484가 0.05 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만족하지 않은다. 따라서 두집단의 분산은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t-test를 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wo sample t-test)
1. data import, head,data.frame, tail,str등을 통해서 data가 잘 load되었는지 확인 할 것.
2. 우선 등분산성 검증 : p-value가 0.05 보다 큰지 두 그룹간의 등분산성이 만족한지 확인.
- var.test함수 사용.
3. t.test를 활용하여 분석진행.
- 유형 1 문법 : t.test(group1의 관측치, group2의 관측치, t-test의 유형, 신뢰범위)
- 유형 2 문법 : t.test(관측치~집단구분의기준, 데이터프레임(main data),t-test의 유형, 신뢰범위 )
유형1
유형2
t.test(dbp1 ~ walk_yn, alternative = "two.sided", mu=0,paired=FALSE, var.equal=TRUE, conf.level = 0.95, data=mydata)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 t-test)
: 동일 그룹 전 후 차이 비교
주의점 : 대응 표본은 실험 전-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입력하는 관측치의 수가 반드시 같아야 한다.
단일표본 t-test(one sample t-test)
단일 표본 t-test는 하나의 집단의 평균이 특정기준보다 유의미하게 나른지 큰지를 알아보는 것.
문법 : t.test(관측치, alternative = 판별 방향, mu=특정기준, conf.level = 신뢰수준)
alternative는 "greater","less","two.sided"가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