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중에 하나.
daemon : 항상켜져 있는 프로그램. 언제 사용할지 모르는 프로그램들 ls, rm, mkdir 과 같은 것들은 필요할때만 사용하는 것들.
server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항상켜져 있어야 한다. daemon의 대표적인 예다.
client는 인터넷을 통해서 server에 접속한다. user 입장에서는 필요할때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사용하여야 하지만, sever 관점에서는 user가 언제 데이터를 사용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on 해야만 한다. server를 daemon 혹은 service라고 명명한다.
웹서버를 설치해보자.
sudo apt-get install apache2
cd /etc/init.d/ # /etc/init.d/의 경로는 daemon 프로그램들이 있는 저장소 이다.
sudo service apache2 start
# daemon 프로그램을 on , off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를 의미한다.
ps aux | grep apache2
#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sudo service apache2 stop
#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멈춘다.
rc3.d : cli 기반으로 구동하고 있을 때 사용
rc5.d : gui 기반으로 구동하고 있을 때 사용한다.
cd /etc/rc3.d
# 여기에 S02apache2 -> 라고 있을때 S라고 시작되면 뒤에 이름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rc3.d 경로에 있으면 콘솔에 있으면 cli로 부팅된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실행된다는 의미이다.
K로 적혀있는 프로그램은 부팅될때 실행되지 않는다. 숫자 01, 02는 우선순위를 명명한다.
즉, rc3.d 에 링크를 걸면된다.
링크 :
/etc/rc5.d/S02apache2 # 현재 링크에 apache가 없음에도 apache가 실행된다.
/etc/rc5.d/K02apache2 # 현재 링크에 apache가 없음에도 apache가 중지 된다.
daemon : 항상켜져 있는 프로그램. 언제 사용할지 모르는 프로그램들 ls, rm, mkdir 과 같은 것들은 필요할때만 사용하는 것들.
server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항상켜져 있어야 한다. daemon의 대표적인 예다.
client는 인터넷을 통해서 server에 접속한다. user 입장에서는 필요할때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사용하여야 하지만, sever 관점에서는 user가 언제 데이터를 사용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on 해야만 한다. server를 daemon 혹은 service라고 명명한다.
웹서버를 설치해보자.
sudo apt-get install apache2
cd /etc/init.d/ # /etc/init.d/의 경로는 daemon 프로그램들이 있는 저장소 이다.
sudo service apache2 start
# daemon 프로그램을 on , off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를 의미한다.
ps aux | grep apache2
#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sudo service apache2 stop
#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멈춘다.
rc3.d : cli 기반으로 구동하고 있을 때 사용
rc5.d : gui 기반으로 구동하고 있을 때 사용한다.
cd /etc/rc3.d
# 여기에 S02apache2 -> 라고 있을때 S라고 시작되면 뒤에 이름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rc3.d 경로에 있으면 콘솔에 있으면 cli로 부팅된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실행된다는 의미이다.
K로 적혀있는 프로그램은 부팅될때 실행되지 않는다. 숫자 01, 02는 우선순위를 명명한다.
즉, rc3.d 에 링크를 걸면된다.
링크 :
/etc/rc5.d/S02apache2 # 현재 링크에 apache가 없음에도 apache가 실행된다.
/etc/rc5.d/K02apache2 # 현재 링크에 apache가 없음에도 apache가 중지 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