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적으로 실행해야할때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시간을 조정해야 할 때...
#CRON
crontab -e
# 정기적으로 작업을 시행하고 싶을 때 여기에 추가하면 된다.
m h dom mon dow command
m : 분 (0-59)
h : 시간(0-23)
dom : day of month(0-31)
mon : month(1-12)
dow : day of week(0-6), sunday=0
*/10 : 10분에 한번
*/1 * 24
10 1 : 한시 10분에 실행된다.
1/* * 24 : 매달 24일
1/* * * * * date >> date.log 2>1
# 2>1 : 2는 표준 에러, 1은 표준 출력. 즉, 표준 에러를 표준 출력으로 redirection 한다는 의미.
tail -f date.log
# tail : 문서의 끝을 보여주는 명령어, -f는 실시간 데이터를 업데이트 해주는 명령어이다. 확인차 작성하는 것.
크론으로 할 수 있는 일
- 정기적으로 시스템이 작성되는 것.
#CRON
crontab -e
# 정기적으로 작업을 시행하고 싶을 때 여기에 추가하면 된다.
m h dom mon dow command
m : 분 (0-59)
h : 시간(0-23)
dom : day of month(0-31)
mon : month(1-12)
dow : day of week(0-6), sunday=0
*/10 : 10분에 한번
*/1 * 24
10 1 : 한시 10분에 실행된다.
1/* * 24 : 매달 24일
1/* * * * * date >> date.log 2>1
# 2>1 : 2는 표준 에러, 1은 표준 출력. 즉, 표준 에러를 표준 출력으로 redirection 한다는 의미.
tail -f date.log
# tail : 문서의 끝을 보여주는 명령어, -f는 실시간 데이터를 업데이트 해주는 명령어이다. 확인차 작성하는 것.
크론으로 할 수 있는 일
- 정기적으로 시스템이 작성되는 것.
댓글
댓글 쓰기